중국 기독교사 연대표
중국 기독교사 연대표
431년 : 에베소 종교회의에서 교리논쟁으로 네스토리우스파 파문됨.
451년 : 네스토리우스 사망.
476년 : 서로마제국 멸망.
481년 : 네스토리우스파 동로마제국에서 축출됨.
496년 : 네스토리우스파 바사에서 총회소집, 교회 독립을 결의.
498년 : 로마 교구들과 유대를 끊고 독립 교회로 출발.(경교)
513년 : 독립한 네스토리우스 교회는 거대한 교단으로 부흥.
: 바사왕 코스로에스(Chosroes)가 부흥하는 교회를 탄압.
551년 : 아라비아에서 이슬람교가 사산왕국을 점령하여 바사가 위험을 당하게 되면서 선교사 파송 시작
581년 : 신흥국가 수(隨)가 중국 통일.
612년 : 수(隨)가 113만 대군을 동원하여 고구려 침입했으나 실패.
618년 : 이연이 수 왕조를 몰아내고 당 왕조 건설.
619년 : 당은 문호를 개방하고 포용정책을 시행.
630년 : 당 태종 이세민은 외래 종교 영입정책을 시행.
635년 : 바사에서 파송한 아라본 외 선교사 21명이 장안에 도착.
: 당 태종은 의전재상 방현령을 서교로 보내 선교사단을 환영.
선교사단은 태종을 배알하고 경교의 성서를 진상하고 황실의 초상화를 받음.
638년 : 당 태종이 경교를 격찬하는 조서를 내림.
: 황제의 유서에 의하여 대진사라는 경교 회당 건축.
650년 : 고종 황제는 아라본에게 진국대법주(鎭國大法主)라는 관직을 하사하고 전국 10도 358주에 경교 회당 대진사의 건축을 명함.
: 매년 성탄절마다 황실에서 성탄 축하 음식을 하사.
756년 : 안녹산의 난을 진압한 곽자의 보좌관이었던 경교사 이사(伊斯)에게 금자광록대부라는 직위 하사.
: 숙종 황제는 자기의 고향 영부주에 경교 교회당 대진사를 건립.
759년 : 신라의 고선지 장군이 티베트 전투에서 큰 공을 세움.
781년 : 이사는 곽자의와 함께 숙종, 대종, 덕종 3대의 황제를 모심.
: 공로훈장을 받은 이사는 덕종 황제에게 경교비 건립을 청원하여 윤허받음.
: 경교사 아담이 경교비석의 원문을 기초하여 조영과장 여수엄이 대진경교유행중국비를 건립.
경교비는 높이 3미터, 너비 1미터, 두께 1척, 조각된 글자 1870자.
845년 : 무종 황제는 외래 종교의 교세를 조사하도록 명함.
사원 4만 6천개소. 성직자 26만5백명.
: 경교금지 조서 반포. 경교를 금지하고 성직자 20만명을 양세호로 함.
: 경교도들이 경교비를 땅에 묻고 도피하여 경교는 소멸.
1239년 : 칭기즈칸의 유럽 원정.
1240년 : 원왕조의 고관 안마길사(安馬吉思)가 남방에 경교 사원 대광명사(大光明寺)를 건축.
: 원 왕조의 모포제국태후가 십자가교회 건축.
1245년 : 안마길사의 제자 세르기스가 7개의 경교사를 건축. 서독안사(西瀆安寺), 자리파사(慈利波寺), 십자사(十字寺), 대흥사(大興寺), 고안사(高安寺), 감천사(甘泉寺), 대보흥사(大寶興寺).
: 교황은 원(元)의 침공을 두려워하여 지오바니(Carpine Giovanna) 신부를 제왕 즉위식 사절로 파송. 경교신자인 대신들이 그들을 특사로 대우해줌. 특하는 교황의 화친 서신을 진정.
1246년 : 원 황제 유한은 사신을 통해 무조건 항복하라는 답장을 보냄.
1247년 : 교황은 바사 일선 주둔군 사령관 배주 장군에게 화친의 서신을 보냄.
: 배주 장군은 두 명의 사자를 통하여 무조건 항복하라는 권면의 답서를 보냄. 경교풍이 농후함.
1250년 : 원 황제 귀유한(貴由汗)이 경교사에 가서 자금을 하사.
: 프랑스의 루이 9세는 다윗과 마가라는 두 청년으로부터 위조된 원 왕조의 화친제안서를 받고 이를 교황에게 보내 바사 군사령관인 이로가태 장군과 황후에게 화친 특사를 파견.
1254년 : 원의 몽형가한이 교황과 루이 9세에게 속히 투항하라는 서신을 보냄.
1281년 : 원 왕조가 일본 원정. 전함 4천4백척과 병력 14만명을 동원하였으나 전함과 병력 11만의 손실을 보고 실패함.
1293년 : 천주교 신부 존 코르비노가 원의 수도 연경에 도착.
1294년 : 천주교의 존 코르비노가 신부가 신약성서와 시편을 몽고어로 번역.
: 원 왕조의 허락하에 존 코르비노 신부가 선교하여 6000명의 교인이 생김.
: 코르비노 신부 연경 지구 주교로 임명됨. 선교사 5명의 증파를 요청.
1318년 : 코르비노 주교는 신약성서를 몽고어로 번역함.
: 오도릭 신부와 야곱 신부가 중국에 파송되어 11개 성에서 선교하고 중국의 사정을 교황청에 보고함.
1338년 : 원의 순치 황제는 안덕열 신부를 특하로 한 16명의 수행원을 교황에게 파송함.
1342년 : 교황은 답례로 4명의 특사를 순치 황제에게 파송함. 순치 황제는 자인전에서 공손히 접견함.
1368년 : 주원장이 원 왕조를 멸하고 기념비를 세움.
1489년 : 이스라엘교 기념비를 세움.
1510년 : 서구에 문예부흥운동이 일어남.
1517년 : 종교개혁운동 시작.
1518년 : 천주교 내에 예수회가 조직되어 세계선교운동의 선봉에 섬.
1542년 : 프란체스코 사비에르가 동방 선교 시작.
1548년 : 나명건 신부가 [천주실록]을 중국어로 번역함.
1552년 : 프란체스코 사비에르가 중국의 남부 상천도(上川島)에 도착.
12월에 사비에르 중국 상천도에서 서거.
1568년 : 진 리베이라 신부 마카오에 도착.
1582년 : 미첼 루지리 신부 광주에 도착.
1592년 : 일본의 충신수길이 16만의 병력을 조선에 상륙시킴.
1601년 : 마테오 리치가 베이징에 도착. 신종 황제에게 선물을 드리고 신종 황제는 선물을 받은 후에 유서를 내리고 선교의 자유를 허락함.
1602년 : 마테오 리치가 양의(兩儀)를 제작하여 정부에 바침.
1603년 : 마테오 리치, [천주실의] 저작.
1605년 : 마테오 리치, 개봉의 이스라엘교 답사.
1610년 : 역법으로 측정한 일식 시간이 60분 차이가 나자 마테오 리치가 명을 받아 역법을 수정.
: 마테오 리치 사망. 장례식을 웅장하게 거행. 베이징에 200명의 교인이 있었음.
1611년 : 알레니오(Julio Alenio) 신부가 이스라엘교의 비석 답사.
1614년 : [천주실의]가 라틴어, 프랑스어, 독일어, 스페인어로 번역 출판됨.
1616년 : 남경의 심회(沈淮)가 천주교를 명하여야 한다고 상소문 올림.
: 서광계는 변학장소(辨學章疎)를 저술하고 천주교 신부를 변호하는 상소문을 올림.
: 심회는 상소문이 윤허되기 전에 천주교인 19명을 체포하여 고문하고 죽임.
: 왕풍숙, 웅삼발, 방적아 신부를 체포하여 마카오로 압송함.
1618년 : 천주교 선교사 아담 샬 베이징에 도착.
1625년 : 대진경교중국유행비를 발굴하고 로마교황청에 보고.
1630년 : 청(淸)의 조선 침략.
1631년 : 조선의 정두원이 베이징에서 홍의포 제조법을 배우며 천주교를 접함.
: 천주교의 도미니코선교회 선교사들 중국에 도착.
1633년 : 프란체스코 선교회 선교사들이 중국에 도착함.
1644년 : 명제국의 마지막 황태후가 교황에게 구원 요청 서신을 보냄.
: 청의 이자성 베이징 점령.
5월 : 청의 베이징 입성.
10월 1일 : 대청제국의 건립을 선포.
: 아담 샬이 수력 수정사업 시작. 태상사, 광록대부라는 벼슬을 받음.
1645년 : 조선의 소현세자가 아담 샬에게서 서양과학과 천주교 교리책및 마리아상을 선물로 받음.
: 예옥범 신부가 중국의 제공사조문제를 교황에게 질문함.
: 교황 이노센트 10세는 제공사조 금지령을 내림.
1655년 : 교황이 명황태후에게 회답.
1656년 : 교황 알렉산더 7세 제공사조의 금지령을 해제.
1657년 : 청 세조 순치 황제는 베이징에서의 천주교회당의 건축 허락. 통현가경(通玄佳境)이라는 현판을 하사함.
1659년 : 명제국의 마지막 왕인 계왕(桂王)이 운남에서 탈출하였으나 미얀마에서 체포되어 사형당함.
1666년 : 양광선의 상소로 아담 샬이 체포되어 고문당하는 제2차 교난발생.
: 아담샬은 황태후의 명령으로 석방되었으나 옥고로 인하여 곧 사망.
1669년 : 교황청에서 중국 동북부지방을 베이징의 사교구로 편입함.
1693년 : 복건성 주교 안당 신부가 목회서신으로 제공사조 금지령을 내림.
1704년 : 교황 클레멘트 11세가 제공사조 금지령을 내림.
1706년 : 교황의 특사 도우라 신부가 제공사조문제로 강희 황제를 접견함.
1707년 : 특사의 대리 안당 신부가 강희 황제로부터 무식한 자라는 책망을 받음.
: 강희 황제와 교황 특사 회견 결과는 선교사 추방으로 이어짐.
1710년 : 도우라 특사 마카오에서 객사.
: 강희 황제는 중국 각 지방 측량 시작.
1717년 : 황여전람도를 작성.
1720년 : 조선 동지사 이이명이 베이징에 머무는 동안 천주교 신부들과 접촉.
: 교황을 특사 가락 신부가 베이징에 도착. 강희 황제와 13차례 접촉. 제공사조문제는 끝내 해결못함.
1722년 : 옹정 황제 즉위 후 천주교 말살정책 시작.
1723년 : 복건성 선교사 전원 추방됨.
: 외국인 선교사를 전원 추방하기를 원하는 상소문 진상.
1727년 : 중러 수호조약 체결. 북경에 러시아 동정교회 설립.
1742년 : 제공사조문제로 많은 신부들이 희생된 후 교황 피우스12세가 제공사조 금지령 완전 해제.
1746년 : 복건에서 신부 5명과 수녀 5명이 음란죄를 범했다는 모함으로 고소되어 신부들이 사형당함.
1751년 : 남회인 신부가 서양식 분수대를 완성함.
1763년 : 영.프 사이에 7년간의 식민지전쟁을 종결하는 조약체결.
1767년 : 대청제국의 전도 제작.
1773년 : 예수회의 해체.
1776년 : 남회인 신부가 무기제작법을 가르침.
: 미합중국 독립 선언.
1781년 : 남회인 신부가 신식총 320대를 제조하여 정부에 헌납함.
: 바세트 신부가 바울서신을 번역함.
1783년 : 천주교 유사회가 예수회의 중국 선교사무를 인수함.
1785년 : 하성태 신부가 신.구약성서를 번역함.
: 조선의 동지사로 온 이승훈이 베이징에서 세례받음.
1790년 : 베이징의 동서남북에 성당 건축함.
1794년 : 중국인 주문모 신부가 조선으로 밀입국.
1801년 : 주문모 신부 조선에서 순교.
1807년 : 런던 교회의 선교사 모리슨 선교사 마카오에 도착.
1810년 : 모리슨 선교사 사도행전 번역.
1811년 : 신부들을 예고없이 귀국 조치하고 교회를 폐쇄시킴.
1813년 : 모리슨 선교사는 신.구약성서를 중문으로 번역함.
1814년 : 홍수전(洪秀全) 출생.
1815년 : 밀네 신부가 제1차 중문월간지 창간.
1816년 : 양발 교우 세례받음.
1818년 : 모리슨 선교사 영화대학 설립.
1819년 : 모리슨 선교사가 신.구약성서를 완역하여 목판으로 인쇄 출판.
: 양발의 부인 세례받음.
1821년 : 중국어 사전 편찬됨.
1822년 : 대영 침례회의 마사만 선교사가 중국에 도착.
: 대영성서공회의 중국 사업 시작.
1823년 : 교리문답서 번역 출판.
: 마사만 선교사가 신약성서를 중국어로 완역.
: 모리슨 선교사가 번역한 신.구약성서를 신천성서로 출판함.
: 양발이 중국인으로서 첫번째 전도자로 임명됨.
: 양발의 장자가 세례를 받음.
1825년 : 공리회 선교사 김관덕 여사가 싱가포르에 여자학교를 설립함.
: 만주어 성서가 번역됨.
1827년 : 모리슨 선교사가 영문잡지 간행.
1828년 : 맥도사 선교사가 천하신문 간행.
1830년 : 례현선교회 선교사가 중국에 도착.
: 미국 공리회 선교사 브리드맨이 중국에 도착.
: 곽실영 선교사가 마카오에 도착.
1832년 : 비치문 선교사가 중화총보 간행.
1833년 : 중국인 유제방 신부 조선에 밀입국.
1834년 : 모리슨 선교사 광동에서 서거.
1835년 : 파커 목사와 비치문 목사가 의료선교회를 설립.
: 백가생(伯駕生) 의료선교사가 광주에서 박제의원(博濟醫院) 설립.
1836년 : 미국 남침례회의 선교사 루이스 셕크 목사가 마카오에 도착.
: 모리슨 선교사 기념 교육협회가 설립.
: 구츨라프 목사가 중국 연안 도착.
: 중국인 모방 신부 조선에 입국함.
1837년 : 영국 교회가 중국 동방부녀교육회 설립.
1838년 : 광동의료선교회 설립.
: 미국 장로회 선교사 오르 목사 중국에 도착.
1839년 : 교황청에서 중국 동북지구를 독립사교구로 설정.
1840년 : 파능선교회의 선교사가 중국에 도착.
아편전쟁 발발.
1842년 : 프로테스탄트의 선교사들이 중국 내에서 개인 전도 시작.
: 대영교회의 부흥사 조지 스미스 목사 중국에 도착.
: 남경조약 체결하여 5개 항 개항하기로 함.
: 미국 장로교 선교사 중국에 도착.
: 영국성공회는 홍콩에 성바울 서원 설립.
: 네델란드 개혁교회의 선교사 아비리 톰슨 목사가 중국에 도착.
1843년 : 홍수전이 환상을 봄.
1844년 : 중.프 간에 안남전쟁 시작.
: 영국의 동방여자교휵회가 영파에 여자중학교 설립.
: 홍수전과 빙운사이 태평천국의 난을 준비.
1845년 : 미국 북장로회가 항주에 영육의숙 설립
: 조선인 김대건이 상해에서 신부 서품을 받음.
: 중.프 간에 황포조약 체결하여 친주교 금지령을 해제.
1846년 : 영진회에서 이광신학원 설립.
: 미국 남침례회의 선교사 중국 도착.
: 안식일 침례회의 선교사 중국에 도착.
1847년 : 파색선교회 선교사 중국 도착.
: 미이미회의 선교사 콜린과 화이트 중국에 도착.
: 대영장로회 윌리엄 번즈 목사 중국에 도착.
1848년 : 미이미회에서 복주남녀중학교 설립.
: 미국감리회의 테일러 목사 중국에 도착.
1850년 : 홍수전은 태평천국의 혁명 선포하고 홍수전성서 출판(성서의 내용은 동일).
: 태평천국의 십계(十戒) 간행.
: 태평천국의 삼자경 간행.
1851년 : 태평천국을 선포하고 각국의 공사에게 청 정부에 대한 원조금지를 요청함.
1852년 : 신.구약성서를 관화어로 번역.
: 연합성서번역위원회에서 신약성서 번역 출판.
: 영국 순도회 선교사가 중국에 도착.
1853년 : 맥도사 선교사 신.구약성서 완역.
1854년 : 허드슨 테일러 선교사 상해 도착.
1856년 : 위이 박사 신약성서를 남만 지방어로 번역.
: 민가에 소예배당을 세우고 전도.
:지방장관 장명복이 신부 1명을 대중 앞에서 사형.
1858년 : 마틴 선교사 천진조약문 초안 작성.
: 양주의 구교운동에 대해 영국 함대 4척이 동원되어 해결.
: 천진조약 체결.
: 천진조약으로 중국 내지에 교회와 학교 설립이 가능해짐.
1859년 : 도광 황제가 신교의 자유를 허용하는 유서를 내림.
: 영국 침례회 선교사가 중국에 도착.
1860년 : 태평천국이 영국 선교사에게 청 정부를 원조하지 말도록 요청.
: 교회 내에 직원을 두어 교회 조직을 체계화.
: 지주와 소작인 간에 분쟁 발생시 교회는 소작인 원조.
: 제2차 아편전쟁 후 베이징조약 체결.
: 영국 장로회에서 복주에 복주신학원 설립.
1861년 : 사천성 대죽현에서 과거(科擧) 응시자들이 신부를 폭행.
: 포르투갈과 마카오 조착조약 체결.
: 광주에 제일장로교회 건립.
: 청 정부가 동문관을 설립.
: 귀주성의 독판 전흥서는 공식적으로 구교운동 지시.
: 강서성 순무 심보정이 구교운동을 선동하고 교회와 영육당을 방화, 파괴.
: 양무파(洋務派) 관료들이 구교운동을 제재.
: 상해에 청심서원 설립.
: 비치문 선교사 복주에서 격도서원 설립.
: 미이미회에서 복주에 인쇄소 설립.
: 홍수전의 태평천국군이 영파, 항주, 남경 점령.
1862년 : 태평천국은 미국영사에게 청 정부를 원조하지 말도록 요청.
: 태평천국은 각국 공사에게 청 정부를 원조하지 말도록 요청.
: 지방장관 대녹지가 신부과 교인을 살해.
: 프랑스 공사는 공식적으로 구교운동을 지시한 전흥서를 처벌할 것을 주장하여 전흥서는 신강으로 유배됨.
: 호남성에서 천주교 탄압 대책을 수립.
: 비치문 선교사 성서 번역하여 출판.
: 러시아 동정교회에서 도교종감 출판.
: 네비우스 선교사 중국 교회의 자립 선교정책을 주장.
1863년 : 사천성 팽주현에서 교회를 파괴하고 신부를 폭행함.
1864년 : 중국에 만국적십자사 조직.
: 미보회장가구 전도단 조직.
: 사천성 유양주에서 교회를 파괴하고 신부를 살해함.
: 화미서관을 상해로 이전.
: 공리회에서 베이징에 영육학당을 설립.
: 홍수전 사망. 5개국 연합군이 태평천국의 수도 남경 함락.
1865년 : 성공회에서 상해에 배아학당 설립.
: 토머스 목사 베이징에서 평양감사인 박규수를 면회.
: 토머스 목사 산동에서 김자평을 만남.
: 정위량 선교사가 베이징대학에서 숭실대학 설립.
: 미이미회가 구장에서 남위열서원과 남위열대학을 설립.
: 미보회의 선교사 마유겸 목사가 중국에 도착.
: 중국내지선교회 조직.
: 미국 북장로회에서 산동 중국인 장로회 설립.
: 허드슨 테일러가 중국 내지 선교를 유럽과 미주 지역에 호소.
1866년 : 하문에서 중국 교회 자립운동 시작.
: 장로회에서 연대교회를 설립.
1867년 : 공리회는 복주에 여자중학교를 설립.
: 마극사 선교사가 [자본주의론] 출판.
1868년 : 광학회에서 <만국공회> 월간지 간행.
: 강소성 양주교회 파괴당함.
: 사천성 유앙주에서 교회 파괴, 신부 세명 피살.
: 사천성 명영진에서 교회 파괴당함.
1869년 : 호남성에서 허위 선정으로 교회 비난.
: 안휘성에서 교회당과 신부의 집이 파괴당함.
: 존 로스 목사와 매킨타이어 목사 동북부지방 선교.
1870년 : 감리교 소주에 소양서원 창립.
: 공리회 홍콩에 성바울 서원 설립.
: 대영 침례회 티모시 리처드 목사 선교사업 시작.
1871년 : 강서성 남창시에서 영국 목사 구타당함.
: 태평양 기선항로 개통.
1872년 : 침례회에서 등주에 여자중학교 설립.
: 스코틀랜드 선교사와 존 로스 목사 만주지방 선교여행 떠남.
1873년 : 첫번째 여자 의사 콤스 선교사 베이징에 도착.
: 미국 침신회 선교사 중국에서 선교사업 시작.
: 구교운동자 사천성 정강현에서 신부 학살.
1874년 : 존 로스 목사 고려문에서 조선 청년들에게 복음 전함.
: 시요셉 선교사 신.구약 성서 번역 출판.
: 취백 목사 베이징시에 농아원 설립.
1875년 : 영국 침례회의 이디모데 선교사 중국 도착.
: 덕종 황제 가로회라는 비밀단체를 없애라는 유서 내림.
: 거대한 비밀 정치집단인 가로회에서 구교운동을 강행.
: 가로회에서 구교운동과 멸청운동의 지도적 역할 담당.
: 장지동 순무 가로회를 탄압.
: 여동신의 구고운동 가담.
: 구교운동자들이 사천성 영산현교회, 중경교회, 남충현교회, 배주현교회 등 4개 교회에 방화하고 파괴.
: 미이미회 구강에 여자중학교 설립.
1876년 : 성공회에서 중국인 지방 목회위원회 조직.
1877년 : 제1차 중국 기독교 전국대회 개최.
: 교회학교 교과서위원회 조직.
: 중영사전 편찬.
1878년 : 산서성에서 한재가 발생하여 선교회에서 구제사업.
: 중국 성공회 복주신학원 설립.
: 성교서회가 6개 도시에 설립.
: 감리교 화영학교 설립.
1879년 : 상해에 성요한대학, 복주에 연합신학원, 화북에 협화신학원, 산동에 제로대학 부설 신학원, 봉천에 기독교 신학원 설립.
: 장로회에서 광주에 배약소학교 설립.
1881년 : 석승마가 복음당교회 설립.
: 감리회에서 상해중서서원, 동오대학, 유덕여중을 설립.
1882년 : 독일의 파능회에서 중국선교 시작.
: 미이미회에서 남경에 담문여중 설립. 정마시 여사는 홍콩에 여자맹아학교 설립.
1883년 : 자립침신회에서 화인성도당을 설립.
: 공리회에서 복주와 홍콩에 여자중학교를 설립.
1884년 : 파커 의사가 중국 기독교박의회를 조직.
: 황포조약 체결로 역대 황제의 천주교 금지령 해제, 선교의 자유 획득.
: 영국 공의회 선교사 결림 여사가 중국에 도착.
: 로스 목사가 북만주지방 순회여행중 조선인 75명에게 세례를 줌.
: 침례회 서국이 설립.
: 미국 북장로회의 기버 레이트(Gibber Reit)가 조선선교사업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서신을 선교 본부에 보냄.
: 중국 기독교 교육회를 조직.
: 상해에서 선교활동하는 미국 북장로교 선교사 알렌(Allen)이 선교지를 조선으로 옮기기로 결정하고 서울로 출발.
: 중국 기독교 협진회 조직.
: 복주지방어로 신.구약성서 번역.
: 위이 박사에 의하여 남만어 구약성서 번역.
1885년 : 미도회의 선교사 범석 목사와 송리 목사가 중국에 도착.
: 기독교교문사와 광협서점을 설립.
: 대영 성서공회, 미국 성서공회, 스코틀랜드 성서공회가 중국에서 성서사업을 시작.
: 산동성 등주에 주문회관 설립.
1886년 : 중국박의회 설립.
: 만국부녀절제회 미국 대표가 중국을 방문.
: 외국 기독교 선교회 선교활동 시작.
1887년 : 규격회 선교사 의맥려 여사와 친우회 선교사가 중국에 도착.
1888년 : 미국의 중국 내지 선교사와 연합선교회가 중국에 도착.
1889년 : 광학회에서 <만국공보>(월간)를 간행.
: 장로회에서 광주에 배정중학 설립.
: 오경은이 미국에서 의학교를 졸업하고 귀국하여 기념병원장에 부임.
: 각지에서 계속적으로 교난 발생.
1890년 : 중국 여의사 21명이 의료사업에 봉사.
: 상해에서 제2차 전국 전도대회 개최.
: 미국의 신의회 전도단이 중국 전도.
: 미국 북행도선교회와 스위스의 남행회선교회가 중국에 도착.
: 한국에서 네비우스 선교정책을 채택.
: 하문어(廈門語) 자전과 광동어(廣東語) 자전을 편찬.
: 독일여러 교단 중국에서 선교사업을 시작.
1891년 : 스웨덴의 침례회 전도단과 영미회 전도단, 노르웨이 전도단이 중국에 도착 전도활동.
: 중서목회보 창간.
: 박제의원에서 마풍원을 설립.
: 장로회에서 광주에 진흥여자중학교를 설립.
1892년 : 미국 남침례회 전도단 중국에서 전도활동 시작.
: 안휘성 각 지역에서 변발을 자르는 소동이 발생.
: 하남성 객민들이 교회 타도운동을 벌여 교회 지도자 황지신이 살해됨.
: 심양에 의학교 설립.
1893년 : 신.구약성서를 광주지방어로 번역.
1895년 : 중일전쟁 정전회담 후 마궐조약을 체결하고 대만을 할애.
: 중국 기독교 청년회 조직.
: 구교운동가 여동신이 사천성 요수진을 점령하고 의병봉기를 선언하다가 체포됨.
: 사천성 대남현에서 구교운동가들에게 교인 17명이 피살됨.
: 침례회서국 창설.
: 각 선교단체마다 인쇄국을 창설.
: 베이징에 부유의원 개원.
: 피크린 선교회 중국 선교 착수.
: 중국 기독교 청년회 조직.
1896년 : 미국 남침례회 전도단과 덴마크 동신의회 전도단 중국 전도 시작.
: 총리아문에서 광서 황제에게 교난 예방책을 상소.
: 미국 미시간 의과대학을 졸압한 석미옥(石美玉)이 귀국하여 구강의원을 개원.
1897년 : 미국 장로교 선교단에서 대형 인쇄소를 설립.
: 구교운동가들에 의하여 산동성 소주의 교회가 파괴되고 신부 2명이 피살됨.
1898년 : 장로회에서 영춘에 육현남녀중학교를 설립.
: 장로회에서 성도에 치미중교를 설립.
: 자립으로 제로대학을 설립.
: 무술정변으로 과거제도를 폐지하고 교육제도를 개혁.
: 광서 황제가 교회보호의 유서를 내림.
: 손중산이 일보에서 강유위와 양계초를 수차 만남.
: 박제의원에서 마풍원을 증설.
: 런던회에서 상해에 맥규서원을 설립.
: 베이징에서 협화의원을 개원.
: 복주에 협화학원을 설립.
: 교회학교수 1만5천교, 학생수 98만명으로 집계됨.
1899년 : 미국 정부에서 중국의 문호개방정책을 권유.
: 제1차 화서전도회담을 개최.
: 중국에 화서성교서국을 창립.
: 런던회에서 광주에 중서학숙을 설립.
1900년 : 의화단세력이 산동과 베이징을 점령하고 기독교를 탄압. 베이징에서 선교사 241명, 신도 5만1천명이 피살되고 산동성 144명, 직예성 3187명, 산서성 238명, 동북 1468명, 몽고 100명의 교인이 피살되고 교회건물이 파괴됨.
: 8개국 연합군이 의화단 진압을 위하여 출동, 청 정부는 연합군에 선전포고하고 자희태후(慈嬉太后)와 황제는 섬서성으로 피신.
: 런던회 전도단과 신의회 전도단이 중국 전도 시작.
: 초대선교회 선교사 중국에 도착.
: 자희태후(慈嬉太后)와 광서황제(光緖皇帝)가 섬서성에서 귀경하여 연합군과 화친조약을 체결, 전범처리와 사회질서를 위하여 유서를 내림.
1901년 : 각국의 전도단이 남경에서 제3차 중국 전도 대회를 개최.
: 남경에 금릉신학원을 설립.
: 스코틀랜드 장로회 전도단 중국 도착 전도.
: 신.구약성서를 영파지방어로 번역.
: 베이징, 소주, 상해, 항주, 장사, 남경, 영파의 기독교 학생들이 연합하여 기독교회는 열강과 결탁하지 말고 피선교 입장에서 탈피하여 민족 교회로 자립하자고 주장.
: 외국 선교회 중국에서 선교활동 시작.
: 루터란 선교회의 선교사 중국에 도착.
1902년 : 안식교 전도단, 준도회 전도단, 노르웨이 신의회 전도단, 네덜란드 상서신의회 전도단에서 중국 전도 집회를 개최.
: 영일동맹 체결로 러시아의 남하를 견제.
1903년 : 해남도에 제1장로교회 설립.
: 요녕성에 문화고등학교 설립.
: 남창에 보영여자중학교 설립.
1904년 : 동북부에서의 이권경쟁을 위한 러일전쟁 발발.
: <교회공보>를 간행 반포.
: 하합성서번역위원회에서 신약성서를 중국어로 번역 출판.
1905년 : 미국 성결회 전도단 중국에서 전도집회 개최.
: 침례회 소주에서 안성중학교과 혜여여자중학교 설립.
: 장로교에서 서북당고아원을 개원.(수용고아 400명)
: 독일 장로교회 동완에서 마풍원 개원.(수용환자 300명)
1906년 : 중국 교회 자립회 탄생.
: 화북여자의원 개원.
1907년 : 중국 기독교 전도 1백주년 기념대회를 개최.
: 광학괴에서 <대동보(大同報)> 창간.
: 상해 호강대학, 소주 동오대학, 상해 동오법학원 설립.
: 경교비(景敎碑)를 금성사에서 장안 비림으로 옮김.
: 중국 부녀절제회 조직.
1908년 : 중화 성서공회에서 상해지방어로 신약성서를 번역 출판.
: 성공회에서 <성공회보>를 간행.
: 미국 개량회에서 중국 분회를 조직하고 금연운동을 벌이며 중국 거독회를 발기.
1910년 : 일본의 조선합병.
: 화북대학과 화북여자대학, 지강대학 설립.
: 중국 학생입지 전도단 조직.(회수 13개, 회원수 1170명)
: 광주에 명심맹아학교 설립.(수용학생 375명)
: 야외 전도집회 시작.
1911년 : 손중산이 신해혁명을 일으킨 후 무창에서 군사정부 수립.
: 베이징에 연경대학 설립.
: 호남 축가(逐家) 전도단 조직.
: 10개 도시에 농아원 설립.
1912년 : 조선 장로회 총회에서 3명의 선교사를 산동성에 파송.
: 진광보본사를 산동에서 상해로 이전.
: 하남전도단 조직.
1913년 : 천주교 마풍원 개원.(수용환자 700명)
: 상해에 성요한대학 설립.
: 조선 장로회 선교사 김여운, 박대로, 사명순이 산동성에 도착.
: 상해 인력거 청도회 설립.
: 예수재림안식교회 선교사 중국에 도착.
: 복주에서 만주족 전도단이 조직.
: 미국 북장로회 선교사 토리(R.A. Torry) 박사가 제남 도착.
: 홍콩에서 해면(海面) 전도단이 설립.
: 모덕 선교사가 13개 도시에서 부흥전도집회를 개최.
1914년 : 징린 <신학잡지> 창간.
: 상해에서 기독교 전도회 조직.
: 제1차 세계대전 발발.
1915년 : 조선 장로회 선교사 방효원, 박상순, 홍승환 목사가 산동성에 도착.
: 남경 징린대학과 남경 징린여자대학, 산동 제로대학 설립.
: 회족(回族)전도단 조직.
: 조선장로회 선교사 이대영 목사가 인도한 산동 부흥전도대회에 1만5천명의 군중이 운집.
: 기독교인 신앙생활 강화운동 전개.
1916년 : 중국 기독교 문자색인이 제작.
1917년 : 기독교 연합회에서 노예해방, 금연, 금주, 도박금지, 거독운동을 실시.
: 조선 장로회에서 파송한 선교사 이대영, 방지일 목사 산동에 도착.
: 중국 자립 교회인 참에수교회가 설립.
: <진광잡지> 창간.
1918년 : 중화기독교회 창설.
: 협진회 전도단 조직 활동.
: 중국 전도집회의 집행위원 21명 선임.
: 하남여자문리대학, 악주문리대학, 장사아례대학, 익약신의대학 설립.
1919년 : 산동성과 산서성에서 극심한 한재가 발생하여 북장로회 선교사 토리 박사가 기아구제사업에 나섬.
: 화합성서번역위원회에서 신.구약성서를 번역 출판.
: 80여개 도시에 중국기독교협진회 조직.
1922년 : 청화대학에서 개최되는 제11차 세계 기독교 학생 동맹회의 준비를 위하여 간사인 존 모트 박사 중국 도착.
: 제11차 기독교 학생 동맹에 참석하기 위해 조선 대표 신흥우, 이상재, 김활란, 김필례 등이 베이징에 도착.
: 영미 교육위원 대표가 중국 교육실정을 시찰하기 위해 중국에 도착.
: 상해에서 비기독교 학생 동맹을 결성하여 제11차 기독교 학생동맹의 베이징대회를 반대하는 성명서를 발표.
: 로마 가톨릭 교황청에서 중국에 20개 사교구를 설정.
: 중국 교회협의회 조직.
: 만주 안산지방에서 기와로 제조한 경교 십자가가 출토됨.
: 기독교 토착화운동을 줒아하는 교회에서 불교와 유교를 결합한 예배형식을 도입.
: 각국의 선교회에서 설립하여 운영하는 기독교 학교의 교육권을 회수하자는 안건이 중국 교육촉진회에 제출됨.
1923년 : 기독교 토착화의 명분으로 불교식 예배를 드리는 교회가 등장.
1924년 : 중국 정부에서 사립학교법을 공포하여 각 학교 이사회의 과반수를 중국인으로 개편하고 학교 운영권을 인수함.
: 기독교 과목을 선택과목으로 하고 종교의식의 참여를 자유롭게 함.
: 선교사들은 학교 운영의 자리에서 물러나 평교서로 근무.
: 영남대학장에 진영과, 금릉대학장에 진유광, 연경대학장에 오뢰천, 화남여대학장에 왕세정 임명. 이외 모든 학교의 장을 중국인으로 교체.
: 선교사들의 교육권 인수인계 태도에 중국인들 감명.
: 교회 주일학교는 계속하여 교회가 운영.
1925년 : 베이징 협화의원에서 중국 기독교박의회 및 중국 의학회와 연합회의를 개최, 학술연제는 180여 개.
: 침례회에서 복주에 대규의 마풍의원을 개원.(수용환자 5000명)
: 중국 마풍구제회가 탄생.
: 신해혁명의 지도자 손중산 사망.
: 예수가정교회 창시.
: 베이징 협화의원에 부유의원을 증설.
: 베이징 협화의원을 증축하여 중국에서 제일 큰 병원이 됨.(초진환자 29만 명, 재진환자 44만 명, 입원환자 1206명)
: 병원설립 261개소, 외국의사 297명, 중국의사 567명, 외국간호사 256명, 중국간호사 561명, 의료기술자 1970명, 진료침상1340대, 입원침상 18266대, 입원 치료환자 204258명, 외래환자 4500342명, 진료소 치료환자 185145명.
1926년 : 중국 통일을 위하여 북벌군이 북상하는 기회를 이용하여 구교운동가들이 각 병원에 피해를 주어 많은 병원이 문을 닫음.
: 구교운동가들이 사립병원 등록을 주장.
: 중국정부는 사립병원 등록법을 공포시행.
1927년 : 사립병원 이사회의 과반수 이상을 중국인으로 재편성하고 병원 운영권을 중국인이 인수.
: 선교사들은 평의사와 평간호사로 봉사.
: 의화단사건은 기독교에 물질적으로 타격을 주었고 1927년의 반기독교운동은 정신적으로 타격을 줌.
: 맹아학교 38개소, 학생수 1000명, 천주교 성모원 50개소, 수용아동수 25000명, 복무직원 15000명, 사립학교과 병원법에 저촉되지 않음.
: 왕명도가 베이징에서 기독도당을 설립하고 교회자립을 주장.
1930년 : 교회서복목록휘편을 편집.
1931년 : 동북부 장로회가 8개 노회로 분립.
: 일본의 침략으로 만주사변이 일어남.
1932년 : 토리 박사가 외국인 산동선교회 회장에 피선되어 부임.
: 선교사 중심의 중국 기독교 박의회와 중국인 중국의 중국 의학회가 베이징에서 합동회의를 개최하고 중화의학회를 조직, 의장단은 중국인 선출.
1936년 : 상해에서 복음전도차가 운행.
: 상해에서 복음방송 시작.
1937년 : 중일전쟁 발발.
1941년 : 중일전쟁이 태평양전쟁으로 확대.
1942년 : 일본군 점령지구에서 선교사 철수.
1945년 : 제2차 세계대전 종결.
: 호치민이 월맹공화국 건국을 선언.
1947년 : 인도(印度) 독립안이 영국국회에서 통과.
: 인도(印度) 성공회, 인도 감리교, 인도 장로교, 인도 조합교회가 통합되어 인도교회로 결성.
1948년 : 말레이시아 교회협의회가 결성.
1949년 : 캄보디아와 라오스가 프랑스 연방령에서 독립.
: 중국인민공화국의 수립.
1951년 : 대부분의 선교사가 중국에서 철수.
(이관숙 저 : 중국 기독교사 중에서 발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