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전세계 미전도종족 분포도/ 아프리카 선교현황
세계 미전도종족 분포도
각 종교별 미전도종족분포
1. 이슬람교에 4100개 미전도종족 (중동) 2. 힌두교 2700개 미전도종족이 있다. (대부분 인도에 집중) 3. 부족종교 2000개 (아프리카) 4. 불교 1000개 (동아시아)
![]()
· 위도 10도와 40도지역 (10/40 창window) 에 집중 · 문명이 발생한 지역에 집중 : 중동(이슬람), 북인도(힌두), 중국/동아시아 (불교), 북부아프리카 (부족 종교)를 중심으로 집중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기독교 분포도 ![]() · 한국을 포함한 중국동부, 남부아프리카, 북미, 남미, 유럽에 집중.
기독교지역과 비기독교지역을 교차해보면 대부분 지역이 기독교 집중지역이거나 타종교집중지역이다.
Africa 선교현황 ![]()
· 53개의 독립국가 · 2000-3,000여 종족 · 1,730가지 언어 · 아랍어를 공식으로 사용하는 7개 국가(수단,이집트,튀니지아,알제리아,모로코,마우리타니아). · 22개국-French · 18개국-English · 4개국-Portugal · 1개국-Spanish · 6개국-공식적으로 아프리카 고유언어 사용
현재 사용되고 있는 여러언어를 통해서Africa의 식민사정이 어떠하였든가를 짐작할 수 있음.
경제
· 지난 25년 간 이 대륙만큼 자연적, 정치적, 그리고 경제적 재난. 한창 빠르게 인구가 증가하던 때에 식량 생산량이 감소했다. · 1992년에는 가뭄과 전쟁 때문에 아프리카의 많은 국가가 기아로 고통을 당했다. 그 당시 6,000만이 기아로 사망했다. · 80년대에 가장 심했던 지역은 서쪽에 위치한 세네갈에서부터 동쪽의 에티오피아와 소말리아에 이르는 사하라 사막 주변 지역과 남아프리카이다.
종교 · 전통종교 15.8%. 7,000만. 성장율 1.6% · 이슬람교 26.7%. 1억 2,900만. 성장율 4.5% · 바하이교 0.3%. 150만 · 힌두교 0.29%. 140만 · 유대교 0.02%. 9만 · 기독교 57.3%. 2억 7,500만. 성장율 3.7%. · 로마 카톨릭 21.3%. 1억 2백만. 최대 16.7%. 성장율 3.4%.
아프리카 기독교 역사적 근거
· 하나님께서 아브라함에게 약속하신 큰 민족을 이루겠다는 말씀이 Africa의 애굽에서 실현되었다(창12:2,46:3-4,26-27,출1:5,신1:10,10:22).
· 요셉 당시 온 세계의 7년 흉년의 멸망을 아프리카 애굽에서 헤롯왕의 칼날을 피하여 애굽에서 아기 예수께서 보호를 받게하셨고(마2:13-15)
· 예수님의 십자가를 대신졌던 사람은 Africa리비아(구레네)시몬이었다(눅23:26).
· 바울의 칭찬받는 동역자 아볼로도 유대인이었지만 아프리카 알렉산드리아 출신이었고(행18:24,고전3:4-6),구레네 시몬(막15:21)의 아들 루포와 그의 모친의 사역 또한 칭찬받고 있는데(롬16;13)그들도 Africa사람들이었다.
· 교회사가 Falk Peter는 그의 책 "아프리카에서의 교회성장"(The Growth of Church in Africa)에서 이렇게 요약하고 있다.
"북아프리카의 하나님을 경외하는 사람들이 아프리카에서 맨먼저 기독교 믿음을 전수받은 사람들이었다. 그 믿음을 받은 후 그들은 실생활에 적용했고, 신학적인 용어를 만들었고 또한 핍박 속에서도 신앙과 신학을 고수했다. 북아프리카의 초대교회는 축복받은 교회로서 기독교 신앙을 전수하고 교회에 공헌한 충성된 지도자들이었다. 이러한 논문들은 교회역사상 진귀한 자료가 되어 왔다.”
현대선교 이전의 Africa 아프리카의 이슬람화 된 이유
· 수차례에 걸친 교리논쟁, 교권 쟁탈전 등 교회 내부의 문제들로서 교회가 중병을 앓고 있는 사이에 외부적으로는 기독교 박해가 가해져 교회는 내외적 문제들로 인해 힘을 잃고 있었다. · 이틈을 타서 이슬람교가 아랍제국주의의 물결을 타고 북아프리카 교회를 강타했다. · AD 635년 다메섹을 정복, AD 636년에는 안디옥을 AD 638년에는 페르샤제국을 멸망시켰다. 애굽 또한 · 1987년에는 Nigeria의 북쪽 카두나주 내에 152개의 개신교회가 모슬렘 폭도들에 의해 소화되었다.
· 1991년 4월에 있었던 Nigeria의 Bauchi 주에서도 개신교회당 40여개를 여지없이 전소시켰다. 기독교지도자들을 죽이는 사례까지 동반했다.
· 조금이라도 영향력을 주는 교회당 부근에는 모슬렘 사원을 세우는 전략 사용 · 북아프리카를 정복하여 식민지화 한 이슬람제국은 탄압정책을 써서 북아프리카 기독교신도들을 이슬람화시켰다. · 기독교인들을 제2계급 시민으로 낙인찍음, 제1계급 시민은 모슬렘들 · 크리스찬과 모슬렘사이를 구분지었다. · 그리고 토지세,인두세,징용 등으로 죽음의 압력으로 이슬람작업을 전개해나갔다. · 이슬람교는 알라신에 대한 자발적으로 복종이라 할 수 없고 아랍문화,아랍종교,아랍어,옷,아랍식 이름
이같은 방식으로 북아프리카 선교의 꿈을 상실했던 북아프리카 교회는 쇄잔해졌고 아프리카 원주민들은 식민지화 되어 이슬람제국은 오늘날도 아프리카를 지배하려 들고 있다.
현대 아프리카 선교 현황
· 이슬람교와 아프리카 전통 종교들과 기독교 색채를 띤 불건전한 단체들 (이단교)의 움직임이 득실
· 지도자 결핍으로 올바른 양육을 받지못하고 있어 크리스챤들이 종교혼합주의에 빠져들고 있음. · 가뭄과 기아 현상으로 절대 가난 그리고 세계Africa연평균 인구성장률 최대의 기록
Africa에 성경번역은 ?
152언어-신약만. 226언어-부분역으로 그침. 현재 307개 언어-성경번역을 시급히 요구함. 합계 964언어-성경 번역을 해야할 필요. 선교사
Africa 에서 활동하고 있는 외국선교사들의 숫자는 12,660명(100명의 한국인 선교사 포함)에 비해 Africa 현지 선교사들은 17,000명.
Nigeria에서만도 30여 교단 및 선교단체에 소속된 2,900여명의 현지 선교사들이 힘있게 복음을 증거하고 있음.
매일 2,000명이 예수 그리스도를 구주로 영접 “6천만의 진실된 기독신자들을 제외하고 복음화해야 할 2억 9천 5백만의 이슬람교도들과 9천2백만의 토착 종교인들과 6십4만의 힌두교도들이 우리의 큰 과제로 남아 있다.”
오늘의 아프리카 선교에서 고려되야 할 문제 1. 굶주림과 격심한 경제적 문제 그리고 급성장하고 있는 인구밀도 2. 부정부패와 사회적,경제적 불안정. 3. 무신론자들의 등장으로 기독교이들이 격심한 핍박 속에서 살고 있음. 4. 정령 숭배와 미신주의에 빠져있던 옛 문화를 부활시키고자 함 5. 경제적 빈부의 격심한 차이, 도시와 시골의 격차,도시화 현상으로는 도시의 슬럼지역 확대,가진자와 6. 종교혼합주의와 이단종파들이 기독교의 탈을 씀. 7. 재이슬람화. 8. 오랜 식민으로 인해, 지배민족의 종교를 거부함.
중보해야할 문제들 · 지하교회 리더쉽 세우기 · 새로운 교회개척 · 전인적 선교와 전문인 선교를 위해 · 언어의 장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