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리교
감리교
監理敎 Methodism 18세기에 존 웨슬리가 영국국교회를 부흥시킨다는 취지로 시작한 운동.
오늘날에는 감리교회 형태로 세계 도처에 남아 있다. 1738년 영국국교회 성직자 존 웨슬리는 한 종교집회에 참석했는데, 그의 〈일기 Journal〉에 따르면 이 집회에서 "마음이 이상하게 뜨거워짐"을 느끼고, 예전에는 알지 못하던 개인 구원의 확신을 체험했다고 한다. 그는 곧 조지 화이트필드와 협력하여 교회가 자기들을 방치하고 있다고 느끼는 사회의 소외계층을 상대로 야외설교를 시작했다. 그후 웨슬리는 교리상의 문제로 화이트필드와 헤어졌지만, 많은 평신도와 몇몇 성직자가 그의 운동에 가담했다. 그중에서도 가장 두드러진 인물은 그의 동생 찰스로, 그가 지은 찬송가들은 감리교 부흥의 메시지를 표현했다.
존 웨슬리, 영국국교회에서 감리교운동을 창시한 인물
이들은 영국국교회 안에 한 '단체'(society)를 형성했다. 웨슬리는 이들이 영국국교회를 떠나지 않기를 바랐지만, 몇 년 동안 긴장관계가 계속되다가 웨슬리가 죽은 지 4년 뒤인 1795년에 이들은 정식으로 영국국교회와 결별했다. 중앙기관의 강력한 권위와 효율적인 지방조직을 결합한 잘 짜여진 교회 행정 및 평신도 설교자들의 기용에 힘입어 이들의 운동은 19세기 내내 급속도로 확산되었다. 감리교는 특히 팽창해가는 공업지대에서 크게 성공을 거두었는데, 그것은 노동자들이 신앙으로 경제적인 좌절을 극복할 수 있도록 도왔고 때로 근검절약으로 경제의 향상도 도모하도록 장려했기 때문이었다.
미국에서는 1784년에 ' 감리교감독교회'(Methodist Episcopal Church)가 자치권을 지닌 교단으로 설립되었다. 이 교단 설립을 이끈 인물은 프랜시스 애즈베리와 토머스 코크로서, 이들은 웨슬리의 원칙에 따라 미국교회를 조직하되, 정착이 이루어진 지역과 미개척지역의 현실에 맞추어 수정했다. 독립전쟁 직전에 이르러서야 감리교 순회설교자들이 처음 미국에 도착했지만, 19세기 중엽까지 감리교는 미국의 다른 어느 교단보다 많은 교인을 확보하기에 이르렀다. 이토록 눈부신 발전은 특히 아메리카의 변방에서 일어났는데, 그것은 감리교 순회목사들이 말을 타고 변방 사람들을 찾아다니면서 쉬운 말로 설교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감리교가 미국 개신교에서 그처럼 활력이 넘치는 교파가 될 수 있게 한 것은 감리교의 독특한 제도였다. 지역단위로 종규를 집행하는 감리교도들의 '속회'(屬會 class)가 조직되었고, 강력한 중앙기관을 정점으로 하는 계급조직이 있어 순회설교자들을 효율적으로 조직하고 감독한 것이다. 1844년 노예제도 문제로 남감리회와 북감리회로 분열하는 바람에 성장이 일시 저지되었다. 남북전쟁이 끝난 후 두 교단은 교인과 재산면에서 급성장을 계속했다. 감리교가 점차 미국 중산층 개신교의 일반적인 양상을 닮아가자 내부에서 ' 성결운동'(holiness movement)이 발생하여 19세기말에 갈라져 나갔다. 1939년 남·북 감리회가 재결합하고 그후에도 더 많은 통합이 이루어졌지만 성결운동에서 비롯된 성결교와 오순절교회는 계속 독립교회로 남아 있다. 감리교의 흑인교회들은 1939년 새로운 중앙 기관의 관할하에 통합되어 연합감리교 내에서 독자적인 집단을 이루고 있다가 1968년 이후 점차 감리교 본교단에 통합되었으며, 1974년까지는 인종에 바탕을 둔 모든 교구가 폐지되었다.
영국과 미국 감리교도들이 선교활동에 쏟은 열정 덕분에 감리교는 전세계로 퍼지게 되었다. 미국 감리교에서 유래한 교회들이 영국 감리교회에서 비롯된 교회보다 더 많고, 널리 퍼져 있지만 영국 감리교의 영향을 받은 지역에서는 자치권을 향한 운동이 더욱 순탄하게 진행되어왔다. 19세기에는 영국과 미국 감리교가 모두 여러 차례 분열을 겪었으나, 20세기에 들어서는 점차 재연합의 길을 꾸준히 걸어왔으며, 전세계 감리교도들은 범세계적인 에큐메니컬 운동에 충분한 역할을 감당해왔다.
그리스도교의 신앙·의식·상황은 매우 다양하지만, 감리교는 교리에 순응해야 한다고 엄격히 고집하거나 신학 사색에 큰 관심을 기울이지 않고 역사적인 그리스도교 교리들을 받아들인다. 감리교는 신자의 신앙을 북돋워주고 개인생활을 변화시키는 성령의 능력에 대한 교리(특히 존 웨슬리의 견해와 관련이 있는 구원확신과 그리스도인의 완전에 관한 가르침)들을 강조하고, 신앙의 핵심이 하느님과의 인격적인 관계에 있다고 주장한다. 예배는 단순하고, 성직자와 평신도가 예배 및 교회행정에 함께 참여하며, 소외당한 사람들을 돌보고, 사회 여건을 향상시키는 데 관심을 가진다. 그리스도인이 서로 격려하고 배우기 위한 작은 모임들을 구성하고 협력적인 감독체제(이 체제에서는 모든 목사들이 교회의 중앙기관과 '연결'되며, 행정 지도를 받는다)를 유지하며 존 웨슬리의 가르침을 충실히 따른다.
- 웨슬리 신학 : 이성주, 성광문화사, 1988
- 웨슬리 신학 개요 : 로버트 버트너 외, 김운기 역, 전망사, 1987
- 존 웨슬리 신학 : 콜린 윌리엄스, 이계준 역, 전망사, 1987
- 감리교신학의 미래 : M. D. 미크스, 변선환 편역, 기독교대한감리회, 1987
- 혁신적 교회 갱신과 웨슬레 : A. A. 스나이더, 조종남 역, 대한기독교출판사, 1986
- 감리교와 속회 : 채부리, 기독교대한감리회, 1984
- 웨슬리 신학 연구 : 조종남, 혜선문화사, 1977
- 웨슬리 신학과 구원론 : 송흥국, 대한기독교서회, 1976
- A History of the Methodist Church in Great Britain, 4vol. : Rupert Davies·Gordon Rupp·A. Raymond George(eds.), 1966-88
- The Methodist Revolution : Bernard Semmel, 1973
- John Wesley:A Theological Biography, 2 vol. in 3 : Martin Schmidt, 1962-73
- A Short History of Methodism : Umphrey Lee·William Warren Sweet, 1956
한국의 감리교
- 한국감리교회의 성격과 민족 : 노종해, 성광문화사, 1983
- 한국감리교여성사 : 장병욱, 성광문화사, 1979
- 한국감리교의 선구자들 : 장병욱, 성광문화사, 1978
- 한국감리교회사 : 이성삼, 기독교대한감리회, 19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