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

이스라엘의 역사

유테레사 2020. 10. 16. 23:22

1.초기청동기시대 BC 3150-2200

가나안 땅에 도시 문화 출현-족장들이 가나안 땅에 들어오기 이전시대

 

2.중기청동기시대 BC 2200-1550 (족장시대-가나안,애굽생활)

성경의 족장시대에 해당하며 이집트는 중왕조에 해당.

시리아북방으로부터 아모리족이 이주. 히브리족 출현. 아브라함이 메소포타미아의

우르에서 이주해 하란을 통해 가나안에 정착. 이삭, 야곱정착, 요셉때 이집트로 이주.

 

3.후기청동기시대 BC 1550-1200 (출애굽과 광야생활,가나안정복,분배,정착. 초기사사시대)

가나안은 이집트의 활발하고 강력한 북방정벌에 의해 이집트통치의 영향하에 놓임.

삼각주 근처의 전투에서 이집트에게 밀린 이스라엘은 북쪽으로 해안을 따라 올라와서

지중해안으로 부터 가나안 땅에 들어와 해안 평야지역의 주인으로 자리를 잡게됨.

이 시대에 이스라엘 민족은 강력한 영향력을 형성하고 있던 이집트로부터 탈출하여

광야생활을 거친 후에 요르단 동쪽의 내륙으로부터 들어와 가나안 땅 정복전을 벌인다.

그리고 가나안 땅을 각 지파별로 나눠 정착하기 시작하면서 힘의 균형을 만들어 놓는다.

그러나 왕이 없이 여러 지파에서 사사들이 등장하였고 그들의 활동이 시작된다.

 

4.초기철기시대 BC1200-1000 (사사시대)

가나안의 도시국가의 구도는 각 부족별로 세력을 규합하는 부족국가들로 발전되고

각 민족마다 독특한 물질문화를 형성. 해안에 정착한 해양민족인 필리스틴, 요르단 서편

땅에는 이스라엘, 요르단 동편 땅에 에돔,모압,암몬족, 북쪽 시리아에 다마스커스를

중심으로 아람이 자리를 잡음. 북쪽 레바논 해안에 자리잡은 페니키아는 과거 두로와 시돈

그리고 그발등의 도시국가 체제에서 일찍 새롭게 연합된 한 국가 단위로 등장하여

전성기를 누림. 이스라엘은 사사시대였고,왕정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사사들의 통치가 계속

되던 시대였다.

 

5.후기철기시대 BC 1000-924 (통일왕국시대)

1)사울의 통치가 시작되고, 이어서 다윗의 예루살렘 점령. 이스라엘의 수도가 됨.

2)솔로몬의 통치, 성전건축 BC 970-930

3)남유다와 북이스라엘 왕국의 분열 (925)

4)분열왕국의 갈등기 BC930-880

5)오므리 왕조 BC 880-841

6)아합의 통치 BC 874-853

7)예후왕조 BC 841-753

8)여로보암 2세의 통치 BC 793-753

9)신흥 앗시리아제국의 부흥 BC 745-727

10)북이스라엘의 멸망 BC 722

11)히스기야의 통치 BC 715-687

12)산헤립의 유다침공 BC 701

13)므낫세의 통치 BC 687-643

14)요시야의 종교개혁 BC640-609

15)신흥 바빌론제국의 등장 BC 626 (앗시리아멸망)

16)이집트 재등장 BC 609

17)유다의 추방과 포로 BC 597

18)남유다의 멸망과 유배 (예루살렘성전의 파괴) BC 586

 

6.바빌론 시대 BC 586-540

이스라엘과 유다국가가 사라지고 성전이 무너지고 유다인의 디아스포라가 시작.

유다인의 새로운 종교적인 순수를 회복하는 전환점이 됨.

회당이 시작되고, 이집트는 성경의 예언처럼- 여러 나라 중에 가장 미약한 나라-가 되어

더 이상 이스라엘이 의지하지 않는 나라가 됨

 

7.페르시아 시대 BC 540-332

1)고레스칙령 -BC 538 (제 1차 포로귀환 - 스룹바벨,세스바살)

2)스룹바벨 성전봉헌 BC 515

3)제2차 포로귀환-에스라 BC458

4)제3차 포로귀환-느헤미야,예루살렘 성벽재건 BC 445

 

8.헬라시대 BC 332-165

1)알렉산더 대제의 페르시아 제국 정복 (이수스전투승리) BC 332

2)알렉산더의 죽음, 헬라제국의 분열

(프톨레미:이집트와 팔레스타인, 셀류커스:바벨론과 시리아)

3)프톨레미 왕조의 팔레스타인 통치 BC 301-200

4)프톨레미 2세의 명령으로 칠십인역 헬라어성경 번역 : 각 지파별로 6명씩

총 72명이 72일동안 번역 BC 280년경

5)안티오쿠스 3세의 팔레스타인 점령 BC 201-198

6)안티오쿠스 에피파네스의 유다인 박해 BC175-166

7)안티오쿠스 4세가 알렉산드리아 근교에서 로마와의 전투에서 패배, 돌아오는 길에

예루살렘 성전에서 돼지를 제우스에게 제물로 바침 BC 168

8)마카비가문의 반란시작:모디인 제사장 마타디아스와 그의 아들 BC167 (바리새파 태동)

 

9.하스모니안 시대 BC165-63

1)마카비 가문이 예루살렘 성 탈환및 성전 재 봉헌 BC 164

2)요나단의 영토확장 (북동/요르단 강 동편 지역)BC160

3)요나단의 대제사장취임 BC153

4)하스모니안 왕가의 통치시작 BC143-63

5)하스모니안 왕가의 내분, 폼페이장군의 예루살렘성전 점거, 로마의 관할 시작 BC 63

 

10.로마제국통치 BC 63- AD 324

1)헤롯이 로마로부터 유다인의 왕위를 얻다 BC 40

2)헤롯이 예루살렘을 정복하고 유다를 통치하기 시작하다 BC 37-4

3)영토분할 :아켈라오-유다와 사마리아,안티파스-갈릴리와 뵈뢰아, 빌립-갈릴리 북부 BC4

4)예수님의 활동 BC 4- AD30

5)총독 빌라도의 유다통치 26-36

6)아그리바 1세의 통치 37-44

7)아그리바 2세의 통치 44-66

8)유다인의 대반란 (1차 로마항쟁) 66-77

9)제2성전 파괴 70

10)산헤드린 공회를 야브네로 옮김 70

11)맛사다 함락 73

12)디아스포라 유대인들의 3년간의 반란운동,트라얀 황제에 의해 진압. 115

하드리안 황제가 유대교 예배와 안식일, 할례의 금지와 예루살렘에 제우스신전을 세움.

13)바르 코크바의 반란 (2차 로마항쟁) 132-135

14)하드리안에 의해 예루살렘은 엘리아 카피톨리나로, 유다는 팔레스타인으로 개명되고

골고다에 제우스 신전과 비너스 신전 건축. 135

 

11.비쟌틴 시대 324-640

1)콘스탄틴 대제의 기독교 공인 (밀라노칙령) 313

2)콘스탄틴 대제 제1차 니케아공의회에서 기독교를 국교로 삼음.

콘스탄티노플로 수도옮김 325

3)콘스탄틴 예루살렘 점령 326

4)로마의 분열 (콘스탄티노플 -동로마의 수도, 로마 -서로마의 수도)

5)그리스도교가 로마의 국교로 승인 - 380

6)예루살렘 탈무드 완성 -380

7)서로마 멸망 -게르만의 용병대장 오토아케르에 의해. 476

8)페르시아의 침입 - 614

9)모하메드가 메카에서 메디나로 수도 옮김 (이슬람교의 원년시작) 622

10)모슬렘의 예루살렘 점령 638

 

12.초기아랍시대 640-1099

1)우마야드 왕조의 통치 661-807

2)우마야드의 제 5대 칼리프인 아브덱 말릭이 예루살렘에 회교사원을 세움 691

3)아바시드 왕조의 통치 807-969

4)파티미드(Fatimids) 왕조의 통치 969- 1091

5)셀죽 터어키의 예루살렘 점령 1077

6)파티미드 왕조 예루살렘 재점령 1098

 

13.십자군 시대 1099-1291

1)비잔틴 제국의 황제 알렉시우스의 요청으로 교황 우르반 2세가 십자군을 구성

(프랑스 클레르몽) 1095

2)십자군의 예루살렘 정복 1099

3)아랍 살라딘 장군의 대승리 1187

4)십자군 다시 강성해지기 시작, 제 3차 십자군때 영국의 사자왕 리처드가 살라딘과

평화협정을 맺고 돌아옴: 안디옥에서 예수살렘까지의 순례길 보장

5)마지막 요새인 아코 (아크레, 신약성서의 둘레마이)가 함락됨으로 십자군 시대 끝 1291

14.맘룩시대 1291-1517

1)이집트의 맘룩이 십자군을 추방 1291

2)콘스탄티노플의 함락으로 동로마(비잔틴)제국 멸망 (오스만 터키에 의해) 1453 3)스페인의 유대인들 추방 1492

4)알렙포전투 (맘룩의 패전) 1516

 

15.오토만 터키 시대 1517-1917

1)오스만 터키의 살림 1세에게 맘룩왕조 멸망 1517

2)예루살렘 성벽과 문이 건축됨 (1538, 슐레이만 대제의 명으로) 1536-1541

3)나폴레옹의 팔레스타인과 이집트 침공 1798-1801

4)첫번째 ‘알리야’(유대인 이민). 주로 러시아와 루마니아에서 옴.

히브리어 부활(엘리에젤 벤 예후다에 의해) 1882-1903

5)제 1차 시오니즘 대회 1897

6)시온주의 창시자 테오도르 헤르쩰 사망 1904

7)두 번째 ‘알리야’. 주로 러시아에서 옴. 1904-1914

8)최초의 키부츠 드가냐와 텔아비브가 세워짐 1909

9)제 1차 세계대전 – 터키는 독일을 지지 1914-1918

 

16.영국 식민지 시대 1917-1948

1)발포어 선언 (영국이 유대인에게 팔레스타인 땅에서의 독립을 약속),

영국군의 예루살렘 점령.1917

2)세번째 알리야. 주로 동부 유럽에서 옴. 1919- 1923

3)국제연맹이 영국의 팔레스타인 위임통치를 승인, 히브리어가 공식언어로 1922.7월

4)네번째 알리야. 주로 동부 유럽에서 옴 (50% 이상이 폴란드에서). 1924-1932 5)히브리대학교 설립 1925

6)다섯번째 알리야. 주로 폴란드에서 오고 나찌 독일의 난민과 루마니아 외 동유럽에서 옴

1933-1939

7)제2차 세계 대전, 히틀러의 600만 유대인 학살. 1939-1947

8)유엔 총회에서 팔레스타인 분할안(유대인 국가와 아랍 국가로)을 통과. 유대인은 환영, 아랍인은 거절. 1947.11.29

9)영국군 팔레스타인에서 철수. 1948.5

 

17.이스라엘 1948 - 현재

1948.5.14 이스라엘 독립 선언

5.15 다섯 아랍 국가(이집트, 요르단, 시리아, 레바논, 이라크) 이스라엘 침공

1948-1949 제 1차 독립 전쟁 (이스라엘은 유엔이 결정한 땅보다 더 많은 영토 확보.

60만 명의 팔레스타인 난민),

1950 요르단 왕국이 서안(West Bank)을 합병

1956.10-11 제 2차 중동전쟁: 시나이 전쟁 - 이집트의 수에즈 운하 국유화 선언에 영국과 프랑스가 이집트 공격. 이 때를 같이 해 이스라엘이 시나이 반도와 가자지구를 점령, 미국과 소련의 개입으로 11월 5일 휴전

1957.3 아카바만의 안전 해운을 약속으로 시나이 반도에서 철수

1967.6.5-10 제 3차 중동전쟁: 6일 전쟁 (시나이 반도, 골란 고원, 서안, 가자지구를 점령)

1973.10.6-25 제 4차 중동전쟁: 욤 키푸르 전쟁

1979.3.26 베긴과 이집트 사다트 대통령 평화 조약 체결: 캠프 데이비드 협정

(미국 카터대통령의 중재, 워싱턴)

1982 4 이스라엘의 시나이 반도 철수

1982.6.6 제 5차 중동전쟁: 레바논 공습-이스라엘의 레바논 침공:갈릴리를 위한 평화작전

1985.10.6 남부 레바논에서 이스라엘군 철수 (남부 레바논군과 소수 이스라엘군이 이스라 엘 북쪽 국경 방호)

1987 제 1차 인티파타

1993. 9. 13 제 1차 오슬로 협정: 자치정부 수립에 대한 초안 마련

라빈 총리와 PLO의장인 야세르 아라파트와 평화협정 체결 (워싱턴): 팔레스 타인 자치 이행에 대한 서명

1994. 10 라빈 총리와 요르단 국왕 후세인과 평화협정에 서명 (워싱턴: 클린턴 대통령)

1995. 11. 5 라빈 총리 암살

1996. 1월 팔레스타인 자치정부 출범 (가자지구, 헤브론, 베들레헴, 여리고, 라말라, 세겜)

1997. 1월 헤브론과 서안지구에서 이스라엘 군 철수

1998. 10월 와이리버 협정에 서명: 1995년에 서명한 잠정 자치안 이행에 대한 세부 사항

1999. 9 샤름 알 세이크 협정 (와이리버 협정 2)

2000. 9. 28 당시 야당 당수이던 샤론 총리의 성전산 진입 시도로 제 2차 인티파타

2002 보안 분리장벽에 대한 이스라엘 정부 승인

2004. 11. 11 야세르 아라파트 사망

2005. 1. 15. 마흐무드 압바스 공식 취임

2005. 8. 22 이스라엘 38년 만에 가자지구 철수

2005. 11. 샤론 총리 리쿠드당 탈당, 카디마 창당

2006. 1. 4 샤론 뇌졸증으로 입원(에후드 올메르트 권한대행)

2006.1. 25 팔레스타인 총선에서 하마스 압승

2006. 3. 28. 이스라엘 총선, 카디마 당 집권(에후드 올메르트)

2007. 7. 12-8. 이스라엘과 레바논 헤즈볼라간의 전쟁(헤즈볼라의 이스라엘 병사 납치 및 살해 원인, 헤즈볼라의 선공과 이스라엘의 역공으로 시작, 34일간 전쟁, 유엔 주재로 종전)

 

태그#이스라엘의역사

 

 

'성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마리아의 유전(遺傳)  (0) 2020.11.23
신양성경 주요내용  (0) 2020.09.23
구약성경의 주요내용  (0) 2020.09.23
구약성경 장별정리(39권, 929장)  (0) 2020.07.15
신약성경 장별정리(27권,260장)  (0) 2020.07.15